‘北 정찰위성 3차 발사’ 질문에 美 국방부 “계속 모니터링”

커뮤니티 2023-12-04 07:26:29 7
북한이 지난 6월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6월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예고한 10월 정찰위성 3차 발사가 연기된 가운데 미국 국방부는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31일(현지시간) 팻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예고와 달리 이달 중 정찰위성을 발사하지 않은 이유를 묻자 “우리가 알 수도 있고 알지 못할 수도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우리는 확장억제 공약에 대해 분명히 해왔으며 한국,北정 일본 등 역내 동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역내 어떤 유형의 문제도 예방할 수 있는 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동맹국 등과) 긴밀하게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도 지난달 31일 북한의 정찰위성 3차 발사 시기를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이달 중 실시하겠다고 예고한 정찰위성 3차 발사와 관련해 “발사 동향이나 준비 사항을 추적하고 있으나 시기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기 때문에 준비 과정이 길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우리 관계 당국에서 그에 대해 평가하고 있는데 그것을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2차 정찰위성 발사 과정의 문제가 러시아의 도움으로 비교적 쉽게 해결될 수 있다면 다음 달에도 3차 발사가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고 러시아로부터 많은 기술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3차 발사는 더 늦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8월 24일 2차 발사 실패 직후 국가우주개발국이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한 후 10월 중 3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10월이 채 하루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북한의 공언은 실현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의 1, 2차 정찰위성 발사 때는 전세계항행경보제도(WWNWS)상 한국과 북한이 속한 지역의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에 사전 통보한 바 있다.

本文地址:http://bbs.industriallegacysupply.com/news/19b399943.html
版权声明

本文仅代表作者观点,不代表本站立场。
本文系作者授权发表,未经许可,不得转载。

全站热门

China’s AliExpress eyes expansion in Korea

Blinken to discuss Russia, Middle East, N. Korea during visit to Seoul: State Department

Asiana Airlines to sell cargo biz to smooth merger

Embracing setbacks: KAIST students vie for the inaugural 'worst failure' crown

Yoon orders increased defense of public digital infrastructure

Open hatred of Jews surges globally, inflamed by Gaza war

35 foreign individuals to be awarded for promoting Korean culture

Seoul shares open higher on US advance

友情链接